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걷기운동이 기억력 개선에 도움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효과적

카테고리 없음

by camila20255 2023. 7. 1. 21:34

본문

반응형

걷기 운동이 기억력 개선에 도움, 노령층 알츠하이머 치매예방에 아주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연구팀은 "경도인지장애나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 네트워크 간 연결이 약화되며 발생하는데, 걷기운동은 뇌 네트워크 간 연결을 강화해서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걷기운동_알츠하이머_치매예방_효과적
걷기운동_알츠하이머_치매예방_효과적

 

걷기 운동이 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준다는 전문 연구 결과는 미국의 메릴랜드 대학교 연구팀은 71~85세 노인 3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12주 동안 노인에게 일주일에 4일을 트레드밀 걷기 운동을 하게 했습니다.

 

트레드밀이란 흔히 우리가 러닝머신이라고 부르는 운동기계처럼 실내에서 걷기와 달리기를 할 수 있게 만든 운동 기구입니다.

 

연구결과 12주간 트레드밀 걷기 운동을 한 후 총 3개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능적 자가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인지기능을 조절하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와 전두정엽 네트워크(frontoparietal network), 현저성 네트워크(salience network) 이 세가지의 연결성이 높아졌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는 에너지 소비량이 60~80%로 높은 뇌 부위로, 비워야할 정보는 비우고 기억해야 할 정보는 정리하는 기능을 뜻합니다.

 

전두정엽네트워크는 인지적인 정보처리가 필요할 때,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유지·조작하면서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하는 것과 관련 있는 부위라고 합니다.

 

현저성 네트워크는 주벼에 있는 외부 환경 변화에 반응하는 요소들에 관련되며, 주의나 인지제어 과정에 관여하게 됩니다.

 

또한 동시에 읽은 내용을 기억해서 말하는 능력도 높아졌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운동 전후 짧은 글을 읽게 하고, 읽은 내용을 기억해서 말하는 능력을 평가했는데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기억력보다 훨씬 기억력이 높은 결과를 도출해 냈다고 합니다.

 

우리 뇌에 세포를 연결해주고 지지해 주는 뇌의 백질들이 걷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을 했을 때 스스로를 개조시키면서 뇌 네트워크 간 연결성이 강화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보고서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Reports)'에 최근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댓글 영역